미국이 다시 금성으로 간다

우주선 발사
우주선 발사

미국의 국립항공우주국 (NASA)는 6월 2일 금성을 연구하기 위한 두 대의 우주선을 발사한다고 발표했다. 우주선 프로젝트들은 각각 다빈치플러스 (DAVINCI+)와 베리터스 (Veritas)로 이름지어졌다. 

나사는 이들 우주선들이 금성 근처까지 도달할 것이며, 이들의 조사는 금성에 대한 인류의 궁금증을 푸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예산 부족을 이유로 1989년이후 중단한 금성 탐사가 30여 년 만에 재개된 것은 최근 활발히 진행된 중국의 우주 연구가 계기가 된 듯하다.

중국은 지난 1970년 4월 24일 자국의 첫 번째 인공위성인 ‘동펑홍 1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한 이후 우주 연구에 박차를 가해 2003년 10월 ‘선저우 5호’에 사람을 태워 우주에 보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오랫동안 서구의 웃음거리 정도였던 중국의 우주 과학 기술은 최근 깜짝놀랄 만한 성공을 연이어 이루고 있다.

중국은 2019년 ‘창어 4호’를 달 뒷면에 착륙시켰고 2020년 11월에 발사된 ‘창어 5호’는 달 표면에서 표본을 채취한 뒤 이해 12월 다시 지구로 귀환했다. 마침내 중국 정부는 지난 5월 15일(현지시간) 화성 탐사선 “톈원 1호” 착륙선과 여기에 실린 탐사 로버(이동형 로봇) 주룽이 화성 최대 평원지대 유토피아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하여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러한 중국의 빠른 추격으로 미국도 더 이상 우주 탐사를 미룰 수 없게 된 듯하다. 오랫동안 나사의 예산 부족 문제를 방치해 오던 미국 정부가 갑자기 대대적인 금성 탐사를 발표한 것은 의외의 일이다. 이번 금성 탐사는 아마도 그런 배경이 있는 듯하다. 

About Author

Previous article프로스포즈 표준계약서의 도입을 환영한다
Next article복권에 두 번 당첨된 사나이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