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의 퇴직 이후 살아가기

남편의 퇴직 이후 살아가기
남편의 퇴직 이후 살아가기

남편의 퇴직 이후 살아가기, 쉽지 않다. 그나마 꼬박꼬박 월급을 가져다주던 남편이 퇴직하면 당장 고정 수입이 없어진다. 하지만 남은 인생은 길다. 그런데 퇴직 후 긴 인생에도 단계가 있으니 그 단계별로 맞추어 노후를 생각해야 한다.

먼저, 퇴직 직후의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아직 국민연금이 나오려면 몇 년 기다려야 한다. 그러니 퇴직금이나 그동안 모아 놓은 돈을 까먹으며 살게 된다. 제일 좋은 것은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지만, 그렇게 마음 편히 살 수는 없다. 매달 줄어드는 잔고를 보면 마음이 급해진다. 그러자 남편이 뭔 가를 벌인다고 한다. 그 주변머리로 보아, 보나 마나 큰돈을 날리는 것이지만 어쩌랴. 그래도 하겠다는 데, 적어도 자기는 남들과 달라서 잘할 자신이 있다고 우기는 것을. 다행이 남편이 취직을 하면 아이들이 다 클 때까지 몇 년 동안은 큰 걱정없이 이 시기를 넘길 수 있다.

다음 단계는 몇 년이 지나 국민연금이 나오기 시작하는 때이다. 정부가 국민연금을 주는 것은 이제 일하지 말라는 뜻이리라. 아니면 일하고 싶어도 써줄 곳이 없다는 뜻인가? 다행히 이때쯤에는 아이들도 다 커서 집을 나갔으므로 빈 집에 두 사람밖에 없으니 돈들 곳은 별로 많지 않다. 조금 남은 돈이 있으므로 연금하고 합쳐서 있는 돈 아껴 쓰면 어느새 늙어버린 남편이 굳이 힘들게 아파트 경비나 대리운전을 하지 않아도, 그럭저럭 먹고는 살 수 있을 지도 모른다. 단지 병원비가 좀 부담스럽다. (참고:슬기로운 은퇴 생활은 가능할까? )

하지만 다음 단계가 진짜 문제다. 남편의 퇴직 이후 살아가기 마지막 단계는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세상을 떠난 다음에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남겨 놓았던 목돈도 남편의 병원비로 다 써버리고, 이제 남은 돈이 별로 없다. 아이들이 좀 도와주면 좋으련만 지 들 살기도 빠듯한데, 손 벌리기도 어렵다. 그렇다고 이 나이에 다시 일터로 나가기도 그렇고. 게다가 몸이 점점 아파온다. 허리가, 무릎이, 어깨가 내 기대를 배반하고 제 혼자 쉬겠다고 난리다. 이때가 어쩌면 남편의 퇴직 이후 살아가기 가장 힘든 때일지 모른다. 

 

About Author

Previous article미국과 러시아의 해빙무드
Next article그만 좀 해먹어 오르테가! 니카라과의 거머리